목록Computer Science (20)
뭐해먹고 살지
쿠키(Cookie)란? 쿠 키(Cookies)는 웹 싸이트를 만드는 쪽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단어는 '하드디스크'입니다.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작은 텍스트 파일로 저장을 해두기 때문에 사용자가 컴퓨터를 껐다가 켜더라도 언제든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쿠키 파일을 읽어와서 거기에 기록해 놓은 내용을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다른 곳도 아닌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할까요? 그것은 HTTP 프로토콜이 '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http로 나누는 대화에 서 설명한 것처럼, 웹 브라우져가 웹 써버에 접속을 해서 어떤 문서나 파일을 요청하면 웹 써버는 요청 받은 내용을 보내준 다음 접속을 끊습니다. 즉, 접속을 ..
HashMap은 Object.hashCode()를 이용하는 java.util.Map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입니다. 대표적인 Map의 구현체입니다. Map의 주요 구현체는 이 외에 Hashtable과 TreeMap이 있습니다. Hashtable은 이 글에서 함께 설명할 것이고, TreeMap의 구현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를 하겠습니다. 일단 Map의 기본 컨셉은 Key-Value입니다. 주민등록번호와 개인 정보같은 경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그 사람의 개인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맵에 정보를 추가하는 것은 put(K key, V value)로 정의됩니다. K는 Key의 타입이고 V는 Value의 타입입니다. 주민번호의 예를 들자면, K는 주민등록번호 객체가 될 것이고..
실시간 메시징과 웹을 결합한 트위터(Twitter)의 인기가 하루하루 높아지고 있다. Twitter 사용자들이 뉴스 특종을 잡은 화면이 CNN에 나오는가 하면 버락 오바마, 오프라 윈프리 같은 유명인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작년 하반기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 내에서도 트위터(Twitter) 사용자가 조금씩 늘고 있다. 트위터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비스 플랫폼일 뿐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문화적 요소가 상당히 많다. 해외 사용자가 대다수인데다 이런 자유도 높은 서비스에 익숙하기 쉽지 않다. 아래 글은 Twitter RT, OH, Hash Tags & More - My FAQ에 있는 것을 요약하고 살을 덧붙인 것이다. 트위터를 처음 쓰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1. 기본적인 제공 기..
Arraylist에서 한 리스트씩 뽑아내는 일종의 반복을 위한 객체 자료가 같은 Type으로 줄지어 있을 때 자료 하나하나를 순차적으로 읽으면서 자료가 끝날 때까지 검사해준다.
member member.MemberServlet member /member/member board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출처] url-pattern 설명 좀 볼까|작성자 마징꼬
▶ Web 서버 -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Web 클라이언트(브라우저)로 부터의 요청을 서비스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일반적으로 Apache를 많이 사용함) - Web 서버의 역할은 html, 이미지(jpg, gif.. 등), xml 등에 대한 처리를 담당(CGI 프로그램 요청도 처리) ▶ Web Appication 서버 - 여러 Web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요구를 Web 서버 혼자 감당하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Web 서버의 기능을 분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Web Applicatioin Server(WAS)라고 한다.(일반적으로 Tomcat, Weblogic, WebShpare, Jeus, JBoss 등이 이용된다.) ▶ Web 서버와 Web Applicatiion ..
C:Tomcat 5.0conf에 server.xml를 열어봅시다. 무쟈게 복잡하죵? ㅎㅎ 일단 하나하나씩 알아 봅시다. server.xml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Top level Elements : 는 설정파일 전체에서 Root Element이며 반면에 는 하나의 Engine과 연관된 Connector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top level elements에는 , 등이 있습니다. -. Connector : 외부 Client와 요청을 주고 응답을 받는 Interface를 말합니다. connector에는 , 등이 있습니다. 오호~ 프로토콜과 관계된 것들이군요 -. Containers : 요청을 받아 응답을 처리하는 기능들의 Component를 말합니다. 하나의 Engine은 하나의 S..
1. Cross 컴파일 환경 설정 - Cross Complier 압축 파일 구하기 ex) arm-linux-tools.tar.bz2, arm-linux-gcc-3.4.1.tar.bz2 - Cross Complier 설치 i. /usr/local 아래에 arm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ii. arm-linux-tools.tar.bz2을 /usr/local/arm에 옮기고, 압축을 해제한다. ( tar xvfj arm-linux-tools.tar.bz2 ) iii. /usr/local/arm/3.4.1/bin/arm-linux-gcc를 이용해 cross 컴파일 할 수 있다. - 환경 변수에 등록하기 . export PATH=/usr/local/arm/3.4.1/bin:$PATH . .bash_profile 등의..
http://www.kandroid.org/s2/index8.php